Q 해당 문구를 선정한 이유는?
A 코로나19로 인해 지금까지 한 번도 사용해 보지 않았던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시작했다. ‘오디오 및 비디오를 사용하여 참가’는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선택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설정으로, 저 문장을 마주할 때마다 가상 공간으로 입장하는 느낌이 든다.
Q 해당 기호 활자를 선정한 이유는? 1번 작품 문구와의 연결성이 있는가?
A ‘필크로(pilcrow)’라고 부르는 단락 기호는 주로 기호 이후의 텍스트가 다른 문단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지시하는 장치로 사용되며, 텍스트 교정 시에는 단락 구분이 필요한 지점을 표시하는데도 사용된다. 문장과 문장 사이의 거리를 강조하는 이 기호는 코로나19 감염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떠올리게 한다.
Q 해당 문구와 레터링(혹은 서체)을 조합했을 때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?
A 코딩으로 만들어진 가상 공간에서 한글을 만난다면 어떤 모양일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작업했다. 그 결과로 코딩에 사용되는 고정폭 로마자에 대응하는 형태의 글자를 그리게 되었다. 사실 글자의 모양을 상상한 뒤 해당 문구를 정했는데, 글자의 형태와 어울리도록 기계적인 뉘앙스의 문구로 결정했다.
Q 해당 작업(레터링, 서체 디자인)중 마주한 문제 상황과 그 해결 방법은?
A 한글은 일반적으로 글자의 폭이 같기 때문에 고정폭 로마자가 지니고 있는 형태적인 특수성을 어떻게 대입할 것인가가 풀어야 할 숙제였다. 그러던 중 고정폭 로마자가 타자기에 주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한글 타자기의 구조를 참조하기 시작했다. 한글 타자기는 초성-중성-종성이 조합되어 한 글자가 입력되는데, 자판 갯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글자들이 탈네모꼴로 조합된다. 이러한 한계로 인해 만들어진 탈네모꼴의 글자는, 마찬가지로 일정한 폭의 제한 때문에 나타난 고정폭 로마자의 형태적 특징과 대응하는 지점이 있다고 생각한다.
Q 사회가 잠시 멀어진 지금, 작업을 하면서 느낀 가장 큰 달라진 점이 있다면?
A 작업에 있어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이 특별히 있지는 않다. 다만 클라이언트로부터 의뢰받는 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확실히 영향을 받았다. 물론 경제적인 타격이 큰 여러 직군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덜하겠지만, 의뢰받았던 일들 중 일부는 연기가 되기도 하고 취소도 되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