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 해당 문구를 선정한 이유는?


A 전시 자체가 코로나 바이러스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만큼, ‘사회적 거리두기’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 무엇일까에 기준을 두고 선정한 문구이다. 아무래도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다 보면, 자연스레 집에서 지루함을 달랠 수 있는 새로운 취미들이 생겨나게 되고 이를 발견하게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서 〈새로운 취미의 발견〉 이라는 문구로 선정하게 되었다.


Q 해당 기호 활자를 선정한 이유는? 1번 작품 문구와의 연결성이 있는가?


A 이번에 작업한 서체의 디자인에는 붓글씨의 맛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담겨 있기 때문에 ‘붓’이라는 도구가 디자인의 중심이 되고 있다. 그렇다 보니 서예를 처음 배울 때 가장 처음 긋게 되는 가로획을 자연스럽게 떠올렸고, 이 가로획이 붓이라는 도구를 단순하면서 효과적으로 드러내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.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로획과 가장 유사한 하이픈(-)을 선정하게 되었다.


진유성의 기호활자


Q 해당 문구와 레터링(혹은 서체)을 조합했을 때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?


A 머릿속으로 생각만 하고 있던 온기 없는 문구가 한 자 한 자씩 채워지면서 표정 있는 하나의 얼굴로 채워져 가는 과정이 재미있었다. 딱딱하게 느껴졌던 문구가 훨씬 인간적이고 자연스럽게 보였달까. 아무래도 직접 쓴 손글씨를 기반으로 만든 작업이기 때문에 더욱 그런 것 같다. 또한 이 점이 폰트 디자인의 큰 매력 중 하나라 생각한다.


이 서체는 붓펜으로 직접 쓴 글씨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체이다. 한글 2,350자를 쓰고 원도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들을 반영해 작업하고 있다. 같은 자소일지라도 앞뒤 자소 배치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손글씨 느낌을 더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. 폰트라는 정리된 틀 안에 붓글씨의 자유로움이 숨 쉬는 서체가 되었으면 한다.


Q 해당 작업(레터링, 서체 디자인)중 마주한 문제 상황과 그 해결 방법은?


A 작업하고 있는 폰트는 복잡한 구조의 글자일 때 붓글씨로서의 역동성 있는 형태가 더 잘 드러나는 디자인이다. 하지만 이같은 이유로 특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인위적인 문구를 선정하기에는 다소 부자연스러운 부분들이 있었다. 조금은 욕심을 버리고 문자의 ‘외관’보다는 문자의 ‘내용’에 좀 더 비중을 두고 작업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였고, 붓글씨의 역동적인 특징이 덜 드러난다고 느껴졌을 수도 있겠다는 아쉬움이 있었다. 이는 차후에 완전한 한 벌의 폰트가 완성되었을 때 자연스레 해결되리라 생각한다.


Q 사회가 잠시 멀어진 지금, 작업을 하면서 느낀 가장 큰 달라진 점이 있다면?


A 표면적으로는 나름대로의 변화들이 있었지만, 폰트 디자인을 하면서는 근본적으로 크게 달라진 것이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 오히려 글자 파생을 주력으로 하는 폰트 디자이너에게는,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현재 상황에 더 강점으로 작용하는 분야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.


진유성

건국대학교에서 만화의 전용서체와 관련된 논문을 통해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. 서체 전문회사 산돌커뮤니케이션에서 서체 디자이너로 근무하였고, 현재는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작업 및 폰트 제작을 병행하고 있다.